[GSI-61 톺아보기] 순음청력검사 기기 버튼 기능 총정리
청능사라면 아주 익숙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하는 순음청력검사기기 GSI-61.
실습 시간을 통해 버튼 하나하나 배우면서 각각의 기능과 헷갈릴 수 있는 개념을 정리했다.
*아직 학부생의 개념 정리입니다. 언제나 댓글을 확인하고 있으니 오류가 있을 경우 편하게 지적 부탁드립니다.
[기본 개념]
Two-way booth: 안도 밖도 방음실
피검자는 검사자가 버튼을 누르는 걸 볼 수 없게 돌아 앉는다.
Transducer: 소리가 출력되는 기기 (헤드폰, 골전도, insert phone, 스피커 등)
Responser: 반응하는 버튼
[헤드폰 쓰는 법]
1. 헤드폰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길이를 최대한으로 늘려놓는다.
2. 파란색이 왼쪽, 빨간색이 오른쪽으로 가도록 착용한다.
3. 헤드폰 바퀴의 굴곡을 귓바퀴에 맞춘다.
4. 양쪽 헤드폰에서 손을 뗴지 않은 채로 사이즈를 조절한다.
5. 연결된 선이 뒤로 가도록 한다.
(선을 앞으로 둘 경우 아이들이 헤드폰을 벗지 않고 뛰쳐나오다 걸려 넘어질 수 있다.)
6. 머리가 긴 대상자의 경우 귀 뒤로 넘기도록 한다.
* 아래 내용은 방음실의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GSI-61 옆에는 엠프가 위치: 스피커 소리를 맞춤
- 또한 CD 플레이어가 위치: 외부 음원을 입력
[채널 조절]
Channel 1: 지금 검사하는 주 방향
Channel 2: 보조 setting
★★Channel 1,2와 좌우 개념은 다르다.
오른쪽을 검사할 때는 Ch1의 routing을 right, 왼쪽 검사할 때는 left로 setting한다.
Ch2는 보조 setting으로, 주로 차폐를 할 때 쓰인다.
[버튼 기능]
Power: 전원이 켜졌을 경우 불빛이 들어온다.
Monitor Ch1, Ch2: 모니터의 음량을 조절한다.
(검사자에게 들리는 소리를 조절한다. 피검자에게 들리는 소리와 관련이 없다!)
Talkback: 청음실 안 소리를 조절한다. (=피검자의 소리가 검사자에게 얼마나 들리게 할지)
Data Erase: 데이터 초기화. 청력도 전체를 지운다. 피검자를 바꿀 때 사용.
Monitor SPKR: 모니터에서 소리가 나도록 한다.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소리를 검사자도 들을 수 있도록)
(검사자가 마이크로 입력하는 어음은 모니터에서 들리지 않는다.)
FM: 주파수 변조 (warble tone), speaker로 검사할 때 사용 (보청기 또는 인공와우 사용자는 헤드폰 사용 불가)
(헤드폰이 아닌 스피커 사용 시 소리의 왜곡이 생긴다. 이때 변조음을 들려주면 왜곡을 막을 수 있다.)
PULSED: Pause가 들어간 소리 (뚝뚝 끊긴다.), 이명 검사 시 사용
ALT와 SISI: 미로성 또는 후미로성 난청 구분에 사용된다.
dB STEP: 데시벨의 변경 단위를 조절한다.
(다이얼을 돌릴 때 1.0을 누르면 1씩, 2.0을 누르면 2씩, 5.0을 누르면 5씩 조절된다.)
Correct/Start: Tone 모드의 경우 타이머 시작, Mic 모드의 경우 맞춘 개수
Clear/Clear: Tone 모드의 경우 초기화, Mic 모드의 경우 초기화
Incorrect/Stop: Tone 모드의 경우 일시정지, Mic 모드의 경우 틀린 개수
Stimulus
Tone: 순음
Mic: 검사자의 마이크 소리
EXT A, EXT B: 외부 음원 연결 (양쪽 귀에 각각 다른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Transducer
Phone: 헤드폰
Bone: 골 진동체 (저음역대에서 매우 강한 진동)
SPKR: 스피커
Insert: 삽입형 이어폰
Noise
NB: Narrow Band Noise (협대역 잡음 - 특정 주파수 소리에 집중, 차폐를 위해 사용한다)
Speech: 회화 영역대에 해당하는 주파수 (300~3kHz)
White: 백색 소음 (광대역 잡음 - 모든 주파수 섞음)
Routing
Left: 왼쪽 귀
Right: 오른쪽 귀
Left Right: 양쪽 귀에 동시 제시
다이얼: dB (음량) 조절. 반시계 방향이 작게, 시계 방향이 크게.
출력 버튼 (긴 버튼): 누르면 소리가 인출된다.
Interrupt: 소리가 지속적으로 제시된다. 이때 긴 버튼을 누르면 누르는 동안 소리가 멈춘다. (차폐 시 사용)
Save: 데이터 저장 (청력도에 대상자의 반응을 기록할 수 있다.)
Interlock: ch1과 ch2를 동시에 제시할 수 있다. (한쪽 귀에 두 소리를 동시 제시 가능)
(interrupt와는 동시에 사용이 불가능하다.)
Tracking: ch1과 ch2가 동시에 움직이게 한다.
(한쪽 다이얼만 돌려도 반대쪽 음량이 함께 증감된다.)
Frequency: 주파수 조절 (12kHz까지 올렸다가 다시 올리면 125Hz로 떨어진다 - 순환)
Talk Forward: 피검자에게 검사자의 말이 들린다 (소통 가능) (양쪽 귀로 들어간다.)
Display Status: 검사 상태 보여줌
Display Audiogram: 청력도 보여줌
High FREQ: 고주파수 정밀검사 가능
(원래는 주파수가 8kHz - 12kHz - 125Hz 순으로 변하다가, High FREQ를 누르면 8kHZ - 9kHz - 10kHz - ... 순으로 변화 간격이 달라진다)
Print Audiogram: 청력도 프린트
Remote/Data transfer: 외부 기기와 연동
Test Mic: 검사 시 사용하는 마이크 음량 조절 (VU meter 조절)
Contrast: 화면 밝기 조절 (반시계 방향이 어둡게, 시계 방향이 밝게)
EXT A/EXT B: 외부 음원 음량 조절
Talk Forward: 피검자에게 들리는 검사자 말소리 dB 조절 (어음 검사와 관련 X)
이로서 GSI-61의 버튼 톺아보기가 끝났다.
사실 검사기기의 화면과 대상자의 반응을 보면서 하나하나 눌러보면 훨씬 이해도 쉽고 빨리 외운다.
그렇지만 시험을 볼 때 기계를 가지고 할 수는 없으니까. ^_^
이렇게 정리하면서 또 한 번 외우는 기회가 되었다.
청각학을 배우는, 그리고 과제 또는 실습을 위해 검색하고 있는 청각학 후배들에게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길.